본문 바로가기
교육심리학

피아제 인지발달이론에 대해서

by iron7db1 2024. 12. 14.

사람의 인지 발달과 경험

 

자라나는 아이들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해 도움을 주고 싶은 마음이 많을 것 같습니다. 아이들의 인지가 어떻게 발달하는지를 좀 더 이해한다면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실제 자신의 아이를 관찰하는 방법을 통해 세상에 큰 영향을 주게 된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알아봅시다.

 

피아제가 설명하는 인지 발달 과정

 

 

피아제가 관찰하여 밝혀낸 아이들의 인지 발달은 새로운 경험으로 평형화 상태가 깨지면 본능적으로 평형화 상태를 회복하려고 하고, 새로운 것에 대해 이해가 마무리되면 다시 평형화 상태가 되는 과정입니다. 즉, 아이들은 평소 상태는 궁금증이 없는 평온한 평형화 상태인데 자신이 실제 알고 있는 것과 다르거나 이전에는 알지 못했던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면 평형화 상태가 깨지게 됩니다. 아이들은 본능적으로 평형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것을 이해하려 하고 이해가 마무리되면 다시 평형화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아이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주는 것이 인지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피아제는 사람들이 새롭게 경험한 것에 대해 이해한 후 평형화 상태가 되기 위해서 스키마를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스키마란 세상의 다양한 것에 대해서 구조적으로 이해한 것을 나타내는 정신적인 조작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요리는 재료 선별, 손질, 조리 도구 활용, 조미료 사용과 같은 일련의 복합적인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요리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가 조직적으로 되어 있을 때 요리하는 방법에 대한 스키마가 형성되고 발전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인지 발달이라는 것은 다양한 분야의 스키마를 만들고 이를 더 확장해나가는 것입니다.

스키마는 고정된 것이 아니고 변화하는데 피아제는 이 과정을 적응으로 설명하였습니다. 적응이란 새로운 경험이 기존의 스키마로는 이해할 수 없을 때 평형화 상태가 깨지게 되는데 이를 회복하기 위한 과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 음식을 전문적으로 하는 요리사가 해외의 새로운 재료와 조리 방법을 배울 때는 기존의 가지고 있던 요리 방식의 평형화 상태가 깨집니다. 한식 요리사는 새로운 요리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요리에 대한 자신의 스키마를 바탕으로 해외 요리 방법을 이해하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을 적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평형화를 회복하는 적응 과정은 조절과 동화라는 두 가지 과정을 거쳐서 이뤄집니다. 조절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스키마가 변형되어 새로운 경험과 통합되는 것이고, 동화하는 것은 새로운 경험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스키마에 통합되는 것입니다. 두 과정 모두 기존의 스키마가 변형되어 새롭게 구성되는 과정으로 인간의 인지 발달은 평형화를 회복하는 적응을 통해 이뤄지는 것입니다.

 

피아제가 제시한 인지 발달의 단계

 

 

피아제는 나이에 따라 사람의 인지가 발달 된다고 보았고 각 단계를 감각운동기(0~2세), 전조작기(2~7세), 구체적 조작기(7~11세), 형식적 조작기(11세~성인)로 구분하였습니다. 감각운동기는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아이들의 상태로 물체를 머릿속으로 떠올리지 못하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은 것은 없다고 생각하는 상태입니다. 감각운동기 후반부에는 대상영속성을 기르게 되는데 이는 자기 자신과 분리된 사물을 인식하는 것입니다. 이 단계의 아이들의 특징은 모방으로 다른 사람을 관찰하면서 학습할 수 있습니다. 전조작기 단계는 아동의 언어 능력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세상에 존재하는 많은 개념을 배우는 단계입니다. 하지만 이 단계의 아이들은 복합적이고 어려운 추상적인 개념은 획득하지 못합니다. 또한, 자기중심성이 높아서 다른 사람도 자신이 보고 있는 데로 본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구체적 조작기는 초등학생 시기 정도로 대상에 대한 논리적인 사고 능력을 할 수 있는 시기인데 이는 아동 인지 발달에 중요한 부분입니다. 또한, 자기중심성을 극복하고 타인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마지막 형식적 조작기는 구체적 조작기와는 다르게 실제적인 것에 대한 논리적 사고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거나 불가능한 것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체계적인 사고와 가설을 근거로 한 사고를 잘할 수 있게 됩니다. 피아제의 이론에도 한계점이 존재하지만, 사람들의 인지 발달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할 수 있게 되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습니다.